![]() | ![]() | ![]() |
---|
RECRUITTEST Personality Aptitude Test(검사유형)
검사유형



인성검사
사람의 주변 환경이나 성장과정에서 축적된 성품 그리고 대인관계, 사회성, 문제해결능력 등을 측정 할 수 있는
검사로 인격이나 성격 발달에 대한 결과를 도출한다.
직무능력검사
업무처리능력의 기반이 되는 각 개인의 두뇌할용상태(백분율 적용)와 각 학과적 능력을 측정하는 검사로 판단력,
수리력, 응용력, 논리력, 사고력, 이해력, 탐구력 등 여러분류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.
직무적성검사
개인의 인성과 업무수행능력, 기호, 관심, 흥미도 등의 검사를 바탕으로, 한 개인이 지니고 있는 능력 중에 가장
효율적인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적성(부서배치용)을 알아보고 비능률적인 사원을 재배치를 통해서 개인의
능력을 극대화 시키기 위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.
※ 직무적성검사 결과 분석은 개인의 성격적 특성, 유형을 진단하여 평가하는 인성검사, 능력적 적성을 판별
하는 직무능력 검사의 결과를 종합하여, 피검자에게 적합한 직무 적응성을 판별하는 것으로써 면접 전형
시 또는 채용 후 부서 배치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.




인성검사 평가항목
① 근면성(성실성,건겅상태) - 하고자 하는의욕, 자기 보존의 욕구,
주변 환경과 사물에 대한 정서적 애정상태와 본능적욕구, 건강
상태, 성실한 생활습관.
② 책임감(솔직성,성취감) - 맡은바 일에 대한 애착과 창조적 성취
의욕, 변명이나 핑계를 대지 않는 정직성여부, 사명감 여부.
③ 협동성(사회성,대인관계) - 흔히 EQ(감성지수)라함. 객관적 사
고의 폭의 깊이 척도. 이익 개념을 떠난 사회 적응력, 희생정신.
타인의 정서를 받아 들이고 스스로 타인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.
④ 능동성(적극성,추진력) - 독자적인 문제해결능력. 자기주장 및
자신감. 능동적, 자발적 행동, 독립성, 적극적으로 문제 해결하
는 능력.
⑤ 지도력(자신감,섭외력) - 내성적, 외향적으로 분류되는 성격.
통솔력, 설득력, 자신감과 언행의 확실한 방향을 결정하는 힘.
⑥ 준법성(규율성,신뢰성) - 질서와 규범의 준수성, 엄격성 및 일관
성. 사람, 사실, 사물에 대한 신뢰도.
⑦ 감정(신경발달,순수성) - 목표 지향적인 행위를 결정하는 직접
적인 원인. 유기체의 상태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적, 생리
적 변화. 의식상태 전체에 흐르는 쾌와 불쾌 사이의 주관적인 심
리적 측면.
⑧ 정서(정신건강,행동안정) - 인식과 사고의 흐름. 현저한 신체적
표현을 동반하는 신체적 유기적 변화. 감정표현이나 행동화 된
감정의 누적.
⑨ 집중력(인내력,침착성) - 몰두할 수 있는 힘. 순발력을 순간적으
로 폭발시킬 수 있는 에너지원. 원기(힘,정신)를 최대한으로 발
휘하게 하는 기능. 스스로 안정을 찾을 수 있는 능력.


직무능력검사 평가항목
① 이해력(지각력,어휘력) - 객관적인 개념의 정확한 파악, 인식
능력 의미의 수용능력, 사리, 사물을 분별하여 깨우치는 능력
② 수리력(수의원리,암산술) - 산술, 수학의 이론, 이치, 계산능력,
논리적, 합리적 사고속도.
③ 사고력(상상력,비판력) - 생각하고 추리하고 판단하는 힘. 행동
의 방향을 통제하고 사태의 정확한 처리능력
④ 판단력(예측력,결단력) - 예측되는 결과에 대한 논리적 접근 능
력. 현상을 분석하고 현실적인 결정을 내리는 능력이며, 사실을
예측하고 파악하는 능력
⑤ 응용력(활용력,검증력) - 경험이나 지식을 다른 곳에 적용하는
능력. 원리나 개념을 실제로 활용하는 능력.
⑥ 탐구력(관찰력,실험력) - 사물을 조사하고 찾아내는 능력. 현장
을 조사하고 사실적으로 관찰하고 예측하는 능력
⑦ 논리력(추론력,표현력) - 문장과 말에 있어서의 조리능력, 사고
의 형식이나 법칙 또는 사고의 법칙적인 관계, 실제로 행하여지
고 있는 추리의 방법. (논증의 이치)사물사이의 법칙적인 관계.
총 7개 능력 분석
※ 직무능력검사는 개인의 능력 중 장래에 기대할 수 있는 잠재능력
을 7가지 능력적 측면에서 측정되는 검사입니다. 일반적으로 취
득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수행 능력도 높다고 볼 수 있지만 개인
에 따라 특정부분의 능력이 뛰어나거나 부족할 수 있습니다.

직무적성검사 직능부문
개인의 인성과 업무수행능력, 기호, 관심, 흥미도 등의 검사를 바탕
으로, 한 개인이 지니고 있는 능력 중에 가장 효율적인 능력을 발휘
할 수 있는 적성(부서배치용)을 알아보고 비능률적인 사원을 재배치
를 통해서 개인의 능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검사.
※ 직무적성 분석은 개인의 성격적 특성, 유형을 진단하여 평가하는
인성검사, 능력적 적성을 판별하는 직무능력 검사의 결과를 종합
하여 피검자에게 적합한 직무 적응성을 판별하는 것으로써 면접
전형 시 또는 채용 후 부서 배치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
있을 것입니다.
